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여러분 건강검진 하셨나요?

    요즘은 개인적으로 골라야 하는 항목들이 너무 많다보니까, 건강검진 신청에서 부터 뭘 해야하는지 몰라 골머리를 썩게 되는데요, 오늘은 연령대 별 적합한 검사항목 추천을 해보겠습니다.

     

    아래버튼을 누르면 누구나 나에게 딱맞는 건강검진 항목을 무료로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20-30대 검사 항목 추천

     

     

     

     

     

     

     

     

     

     

    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1. 위내시경 / 대장내시경

     

    요즘 20대분들은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즐기고, 평소 먹고 바로 눕는 생활습관으로 역류성 식도염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고 있다면, 특히 챙겨야 할 검사 항목으로 꼽힙니다.

     

    2. 상복부 초음파

     

    막 성인이 된 20대분들은 음주를 자주 합니다. 알코올 섭취량이 늘어나고 술안주로 기름진 음식, 자극적인 음식을 자주 섭취하기 때문에 간, 담당, 비장, 신장, 췌장 등 복부 내부 장기를 다방면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경동맥 초음파

     

    경동맥 내의 혈액 흐름과 혈관 상태를 진단하는 검사로 과도한 스트레스, 과로, 불규칙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어 혈관질환 발병률이 높은 20대들이 검사해보면 좋을만한 항목입니다.

     

     

     

     

    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4. 여성호르몬검사 / 유방초음파

     

    여성의 경우 위와 관련한 검사들도 같이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요즘 20대도 유방암에 걸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원한다면 유방촬영도 가능하지만. 특별히 걱정되는 부분이 있는게 아니라면 유방촬영보다는 유방초음파를 권유드립니다.

     

    5. 빈혈검사

     

    20대 여성의 경우 다이어트, 스트레스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빈혈이 생기는 경우가 다수 있어서 검사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6. 갑상선 초음파

     

    갑상선 암은 20대 발병빈도가 굉장히 높은 질환으로 추천드리긴하지만 생존율이 굉장히 높은 질환으로, 증상이 없는 사람까지 매년 검사할 필요는 없습니다. 목에 혹이 만져지거나, 가족력이 있거나, 방사선 노출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항목

     

     

     

     

    40-50대 검사 항목 추천

     

     

     

     

     

    1. 위내시경 / 대장내시경

     

    요즘 20대분들은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즐기고, 평소 먹고 바로 눕는 생활습관으로 역류성 식도염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고 있다면, 특히 챙겨야 할 검사 항목으로 꼽힙니다.

     

    2. 폐/흉부 CT

     

    저선량 검사이기에 방사선 피폭량이 낮아 한번쯤 검사해볼만하나, 정상이 나왔다면 계속 할필요는 없고 3-4년마다 한번 검사 추천합니다.

     

    3. A/B형 간염 항체 검사

     

    A형 간염 예방접종이 필수가 아니었던 30~40대는 항체가 없는 사람들도 있기때문에, 꼭 검사해보시고 예방접종까지 같이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4. 복부 초음파

     

    위, 대장 외에도 간, 신장, 췌장 등 장기들이 서서히 망가질 수 있는 시기에요. 2년마다 검진을 권장합니다.

     

    5. 자궁, 난소 초음파

     

    자궁 질환은 초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40대 초반부터는 적극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6. 골밀도 검사

     

    호르몬이 감소하면서 골밀도도 함께 감소해서 골다공증 합병 확률이 높아져요. 조기치료가 매우 매우 중요한 질병이니 검사를 소홀히 하면 안됩니다..

     

    7. 경동맥 초음파

     

    뇌혈관 질환, 동맥경화 등 혈관 문제가 없는지 검사하는 항목이며, 성인병과 연관되는 질환들이 많이 나타나기때문에 정기적인 검사 권고드립니다.

     

     

     

     

    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60대 이후 검사 항목 추천]

     

    1. 전립선 초음파 : 60세 이후 증가하는 전립선암에 대한 검사

    2. 인지기능 혈액검사 : 이상이 있다면 정신의학과 신경과 방문

    3. 심초음파 검사 : 심장기능확인

     

     

     

     

     

     

    비추천 건강검진 항목

     

    기본적으로 증상/가족력이 없는경우 20-30대의 경우 매년 CT를 찍는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1. PET/CT

     

    암 전이 혹은 재발 확인을 위한 검사로, 방사선 피폭량이 매우 높음. 300명중 한명이 암이 생길 수 있는 정도라고 합니다.

     

    2. 뇌 MRI / 뇌혈류 초음파

     

    앞의 두가지 검사는 검사비용도 훨씬 비싸고 뇌혈류 초음파의 경우 결과가 부정확한 편이라, 뇌동맥류 발견을 위한 검사로 MRA를 추천합니다.

     

    3. 위장조영술

     

    위 내시경으로 위, 식도,십이지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기때문에 조영제를 먹는 검사를 진행하는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4.심장초음파

     

    심부전, 판막질환, 심장기형 관련 검사로, 특별한 이상이 있던 사람이 아니라면 일반인은 심장 초음파로 얻을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고 합니다. 고혈압,당뇨,이상지질혈증이 있다면 50대 이후 관상동맥 CT를 고려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5. 복부 CT

     

    상복부초음파, 위/대장내시경 등으로 왠만한 장기 확인이 가능하여 굳이 방사선 피폭이 되면서 검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6. 허리 CT / MRI

     

    허리통증이 있는경우 차라리 정형외과 신경외과에 방문하여 검진이 아닌 진단을 위한 허리 CT / MRI 진행을 권장하며, 허리 CT 또한 방사선 피폭이 되는 검사이기에 증상이 없는경우 검사를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

     

     

     

     

     

    [건강검진 시 주의사항]

     

    -검진 전날 저녁 9시 이후에는 금식이 필요합니다.

     

    -당일에 아침식사는 물론 물, 커피,우유, 담재,주스,껌 등 일체 음식을 먹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검사 전 최소 8시간의 공복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다만 대장암 검사,유방암,자궁경부암 검진을 받는 경우는 금식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건강검진 결과수령 방법]

     

    -이메일수령

     

    -우편(택배)수령

     

    -직접 내원 수령

     

     

     

    반응형